728x90
“천재는 1%의 영감과 99%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.”
에디슨의 이 말이 불편하게 다가온 건 언제부터였을까.
주어가 ‘천재’로만 한정된다면야 물론 토 달 필요가 없겠다.
영감 혹은 재능이 부단한 노력의 뒷받침을 받아야 한다는 걸 누가 모를까.
문제는 명언이랍시고 이 말을 아무데나 무작정 들이댄다는 거.
얼마 전 고등학교에서 문예창작 수업을 맡고 있는 K를 만났을 때도
나는 우연히 그런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.
“노력하면 뭐든 된다는 식의 전투적인 말들, 지겹기 짝이 없어.”
그러자 K는 내 불만의 각도를 살짝 교정해 주었다.
“음… 애들을 가르쳐 보니 말이지, 노력하면 되기는 해.
하지만 노력조차도 아무나 하는 게 아니고 일종의 재능이더라고.”
K는 노력 대신 ‘근성’이라는 말로 표현을 바꾸었다.
잘 안 풀려도 끝까지 붙들고 늘어지는 집요함.
그것도 타고난 기질이더라는 것이다.
“될 때까지 해봐야 기쁨을 느끼는 애들이 있어.
안 되면 안 되는 거려니 현재에 만족하는 애들이 있고.
행복감을 느끼는 세포가 근본적으로 다르달까.”
K는 근성을 타고나지 않은 아이들이 노력의 미덕에 짓눌려
어두워지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.
-시인 신해욱의 에세이 ‘일인용 책’에서 따온 글.
728x90
'[1]자기개발 > [1-3] 성찰-명언-자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긍정적인 자존감에 이르기 위하여 (0) | 2021.05.25 |
---|---|
회심 (0) | 2021.05.13 |
내게 맞지 않는 것은 고통이 될 수 있다 (0) | 2020.12.10 |
항상 경계해야 하는 것 (0) | 2020.11.25 |
합리적 쾌락주의 (0) | 2020.11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