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- 한국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이 도태되는 이유
- PM 과 경영진의 갈등관계
- 경영진은 성과와 일정에만 관심을 둔다
- PM은 S/W의 품질과 유지보수성 쳬계성에 관심을 둔다
- 우선순위가 있긴하지만,짦은 개발일정에 맞춰야 하기때문에 SW 품질의 중요성을 알고있으면서도 간과한다
- 한국만에 존재하는 개발문화가 답습이 되어 선진 개발 문화를 받아드리지 않는다.
- 한국내에서도 전문가라는 집단에서도 조차 한국문화와 안맞는다고 하여,선진 S/W 공학을 무시한다
- 미국은 70년대 후반에 버린 개발프로세를 한국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,표준화 되었다
- PM의 권한이 줄어들었다.
- 고객 감동의 본질이 손상되었다
- 한국 : 고객이 원하는데로 해주는것
- 재구축이 만연하다.
- 개발 당시 막대한 비용을 지불했음에도 10년이 지나면 재구축을 당연시 한다.
- 미국 유럽: 고객이 원한것을 예측해서 하는것
- 재구축이 거의없다
- 10년된 S/W가 지금도 잘 돌아간다
- 한국에서 S/W 의 품질이 떨어지는 이유
- 객체 모델링 과정이 생략된다.
- 틀 [서식,양식,지나친 문서화,과도한 분업화]에 연연힌다.
- 업무의 이해도가 떨어진다
- 한국에서 PM은 고객에게 접대하고,술마시고,농담하고,정치하는것을 전락되었다
- 업무도 모르고 제안서를 작성하며,이해도가 낮으상태에서 프로젝트 규모가 일정을 알리가 없다
- 선진국에서 PM은 해당 프로젝트의 업무의 이해도가 높고,기술적으로 많은것을 경험했으며,표준가이드를 준수한다.
- 팀 빌딩 과정이 생략된다
- 팀원들의 수준을 파악하는 과정이 단순하다
- 투자대비 비용절감만 생각한다
- 불가능한것을 요구하지마라
- 선진화 팀 빌딩
- 팀원들이 모를때는 PM이 알려주어야하며,스디터할 시간을 확보 해야한다.
- 팀원들 각자 고유의 눈높이를 맞춰야한다.
- 언변을 가지고 평가하지 마라
- 개발자 입장에서 봐라
- 말도 안되는 로직을 가지고 강요하지 마라
- 현실을 파악하고 대처를 하라
- 품질의 대한 정의가 없다
- 분석,설계,상세설계,코딩
- 선진화된 프로젝트 관리
- 구축할 SW의 량을 줄인다
- 쓰지도 않을 확장성을 미리 고려하여 만들지 말라
- 증복된것 없이
- 사용할것만
- 재작업을 줄인다
- 프로세스 내재화 (표준,프로세스,가이드)
- 역량개발 및 팀 빌딩
- 예방적인 검토 (인스펙션)-모든 구성원의 작업으로
- 자동화를 통하여 잔여 잔업의 노동 집중을 줄인다.
- 체크리스트 자동화(엑셀문서를 통화 완료,진행,미진행 등을 입력값만 넣으면 확인할수있도록)
- PM 으로 유의사항
- 디테일을 가져라
- 독소조항이 있는 살펴봐라
- 기능도 모르고 일정을 잡지말라
- 분석이 되지 않으면 계획 및 제안을 하지마라
- 한국만 존재하는 RFP에 매달리지 말라
- ISO 12207 프로세스 준수
728x90
'[2]SW Development No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버그란 무엇인가? (0) | 2020.08.28 |
---|---|
Microsoft and Google have announced that further development of the Microsoft-led Go programming language extension for Visual Studio Code has been taken over by Google. (0) | 2020.06.17 |
소프트웨어 장인정신 매니페스토 (0) | 2020.06.13 |
Sql Lite 참조 종류와 파일 설명 (0) | 2020.02.24 |
Updating the UI from a thread -Vb.net (0) | 2020.02.1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