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대체 키는 어떻게 관리해야 안전할까?
키 역시 데이터 형태이므로 키 관리는 다시 데이터 보안의 문제가 된다.
게다가 암호화를 할 때 생성된 키는 하나가 아니다.
암호화 키, 복호화 키, 암호화 권한을 확인하는 키, 복호화 권한을 확인하는 키 등 여러 개가 필요하다 보니
키마다 접근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하는 '체계'가 있어야 한다.
보안을 생각할 때는 '안전한 기술' 만이 아닌 안전한 시스템까지 함께 생각해야 한다.
혼돈 달성 : 문자 바꿈 Substiution을 선택하고
확산을 달성 : 순서 바꿈 Permutation 선택
Substiution 은 치환, 대치, 대체, 환자 등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
"가나 다라마'를 'a나 c라, e'로 바꾼다
'더 안전하게 ' 암호화를 하고 싶다면 최대한 혼돈과 확산 상태를 달성해야 한다.
이것은 Substiution과 Permutation를 여러 번 반복하면 된다
728x90
'[2-3]operating system > [2-1.4]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암호화 알고리즘의 필요성 (0) | 2021.08.24 |
---|---|
해쉬 함수는 임의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'특정 길이의 데이터'로 변환하는과정이다. (2) | 2020.03.13 |
OPE 기법 순서 유지 암호화 (0) | 2020.03.12 |
스트링 암호화와 블록 암호화 (0) | 2020.03.12 |
해쉬함수 충돌저항성의 대한 안정성 보완 (0) | 2020.03.09 |
댓글